태풍 이름짓는 방법 및 태풍 이름 유래 정리
여름철, 요즘은 가을에도 찾아오는 태풍은 우리 나라에 크고 작은 피해를 남기고 사라져 버립니다. 그러다 보면 뉴스에서나 사람들끼리 이야기를 할 때에 예전에 왔었던 무슨 무슨 태풍이랑 비교해서 이번 태풍이 강하다 약하다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
이런 뉴스 또는 이야기를 접하다보면 태풍의 이름이 한글로 된 단어인 것을 보고 친근하게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다. 혹은 우리나라에서 태풍 이름을 짓는 것은 아닌가 하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으시구요. 그래서 오늘은 태풍 이름짓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먼저 태풍에 이름을 지어주기 시작한 이유부터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태풍은 한 번 발생하면 대개 일주일 이상 그 세력을 유지합니다. 그렇다보니 같은 나라 같은 지역에 태풍이 몇 개씩 움직이고 있을 수가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태풍 예보가 헷갈릴 수 있기에 태풍에 이름을 부여하여 사람들의 혼동을 줄이려고 시작하게 된 것입니다. 호주의 예보관들이 이와 같이 태풍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한 것이 최초였습니다. 본인이 싫어하는 정치가의 이름을 태풍에 붙여 풍자적인 느낌으로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던 중 세계 제2차 대전 이후부터 미 해군과 공군에서 태풍에 이름을 공식적으로 붙여주기 시작했습니다. 그 당시의 예보관들은 태풍 이름으로 자신의 아내나 애인의 이름을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태풍이 사람들에게 피해만 주는 안 좋은 이미지가 여자 이름만 사용하다보니 여성단체가 반발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1979년부터는 남자와 여자 이름이 번갈아가며 사용되었습니다.
기존의 태풍 이름을 짓는 방법이 현재의 방법으로 바뀌게 된 것은 2000년부터입니다. 태풍위원회에서 태평양 및 아시아 지역 태풍에 관한 국민들의 관심도 높이고 태풍 경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기존의 서양식 표기 방식의 태풍이름을 태풍위원회 회원국들이 체출한 고유이름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회원국은 총 14개국으로 한국,미국,태국,캄보디아,라오스,말레이시아,홍콩,마카오,중국,일본,미크로네시아,필리핀,베트남이 되겠습니다. 여기에 소속된 나라들이 각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의 태풍 이름 중에서 순서대로 태풍의 이름을 명명합니다.
140개의 태풍이름을 5개 조로 나누어서 1조부터 차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140개 이름을 모두 사용할 경우는 처음에 사용했던 이름을 다시 사용합니다. 1년에 평균적으로 대략 30개 정도의 태풍이 발생하기 때문에 5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140개의 이름이 모두 사용됩니다.
우리나라가 태풍 이름 정하는 방법은 영문 표기나 발음이 쉬운 동식물에서 이름을 고른다고합니다. 태풍 이름 짓는 방법을 모를때는 간혹 태풍의 이름이 한글인 것이 많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으실텐데요. 그 이유는 앞서 설명 드린대로 태풍위원회 회원국 중에 북한도 포함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북한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한글로 된 태풍 이름을 10개 제출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한글로 된 태풍 이름을 많이 볼 수가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140개의 이름을 순차적으로 돌아가며 사용을 하고 있지만 이 이름들을 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태풍이 큰 피해를 입힌 경우 그 태풍의 이름 삭제함으로써 다시 그런 피해를 입지 않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기도 하는데요. 매년 11월 태풍위원회에 피해가 컸던 태풍의 이름을 삭제 요청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태풍 이름 짓는 방법 및 태풍 이름의 유래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태풍이 자주 발생하는 시기인 여름에 태풍 대비를 잘 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