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별 나이 / 띠나이 계산 요령 총정리

띠별 나이 / 띠나이 계산 요령 총정리
보통 처음에 사람을 알게 되었을 때 상대방이 나이를 불어보게 됩니다. 그런 경우 우리는 ‘세는 나이’로 나이를 말합니다. 보통 한국식 나이로는 만 나이가 아닌 세는 나이를 지칭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세는 나이는 태어난 해가 기준이 되어 셈을 합니다. 태어난 해를 기준으로 1살부터 계산하고 새해가 첫날이 되면 한 살씩 더해서 계산하는 나이입니다. 과거에는 사주나 궁합을 보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요즘도 매년 사주와 신년 운세를 보거나 결혼을 할 사람들은 궁합을 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런 사주나 궁합을 볼 때에는 띠별 나이를 알아두면 도움이 됩니다. 물론 사주나 궁합 보는 곳에서 자신이 태어난 생년월일만 이야기를 해도 괜찮긴 합니다.
꼭 그런 상황이 아니라도 옛날부터 띠나이를 사용했었다보니 여전히 나이를 물을 때 무슨띠인지 물어보는 사람도 종종 있습니다. 그런 상황을 대비해서 오늘은 띠별 나이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띠별 나이 / 띠나이 계산 방법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각 해마다 12가지 동물을 순서대로 정해놓고 태어난 해에 해당되는 동물의 띠를 띠나이 계산할 때 사용해 왔습니다. 12가지 띠는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수이, 닭, 개, 돼지의 차례로 정해져 있습니다. 또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로 외우고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12가지 명칭은 12지라고 부르는데 땅을 지키는 열두신장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십이지신을 나타내는 동물은 총 12마리로 순서를 정했기 때문에 띠는 12년을 주기로 반복됩니다. 그런 이유로 띠는 같지만 나이차이가 12살이 날 때 띠동갑이라고 부릅니다.
일단 12가지 띠 순서를 외우고 있어야 띠나이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서 자신이 소띠인데 자신보다 어린 말띠의 띠나이를 계산한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에서 나의 띠는 축에 해당이 되고 상대의 띠는 오에 해당됩니다. 두 띠는 5살 차이가 나고 상대나 자신보다 어리기 때문에 자신이 출생한 년도에 5를 더해주면 상대방이 태어난 해의 년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하는 것이 한가지 있습니다. 띠나이를 계산하는 경우 자신의 나이를 만으로 계산했는지 세는 나이로 계산했는지에 따라 계산되는 결과는 달라질수가 있습니다. 갓 태어난 아기의 경우 만 나이는 0세가 되고 나이를 계산하는 기준은 태어난 날이 기준이 되어 방금 태어난 신생아의 경우 0살로 만나이를 계산할 때의 기준이 되는 출생일로부터 1년이 지나면 한살을 더 먹게 됩니다. 만 나이를 계산하는 기준은 생일이 되고 1년단위로 나이를 한살씩 더하게 됩니다.
그와는 반대로 세는 나이를 계산할 때에는 처음에 알려드렸듯이 출생과 동시에 1세가 되어 1월 1일을 나이 계산할 때 기준으로 잡아 매년 새해 첫날마다 1살씩 더해 나이를 계산합니다.
나이는 태어나서 나이의 경우 출생 후 살아온 기간을 나타내는데 사용하고 지구상의 대부분의 나라에서 쓰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는 일반적으로 세는 나이를 쓰지만 법률 및 각종 공문서나 언론보도에서는 대체로 만 나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두가지 방식의 나이 계산 방법이 크게 의미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부터 사용해오던 방식이다보니 두가지 모두 사용중이고 아직도 사용중인 것은 나름의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띠별 나이 계산하는 방법도 알아두면 쓸일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오늘 알려드린 것을 체크해 두시고 필요하실 때 잘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주식 초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주식 매매 기법 세 가지
주식 초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주식 매매 기법 세 가지 주식 초보자의 경우에는 투자 방법, 스타일에 따라서 주식 공부나 매매하는 법 또한 바뀌어야 한다는 사실에 관해서 잘 알지 못합니다.
gentlethink.tistory.com
층간소음으로 경찰신고해도 소용없을 때 해결하는 요령 알려드려요.
층간소음으로 경찰신고해도 소용없을 때 해결하는 요령 알려드려요. 아파트나 오피스텔에 사는 사람들 중에서 층간소음 때문에 힘들어한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그런 경험이 없으시다면 뉴스
gentlethink.tistory.com
국민내일배움카드의 발급 자격 및 신청하는 방법 정리해 봅니다.
국민내일배움카드의 발급 자격 및 신청하는 방법 정리해 봅니다. 취업 및 이직을 하기 위해서 관련 분야의 기술 또는 지식에 관해서 배울 필요가 있습니다. 교육 기관 또는 학원을 통해서 배울
gentlethink.tistory.com
군적금 만기해지 준비물과 은행별 금리비교 참고하세요.
요즘에는 군인 월급이 예전에 비해 많이 올랐습니다. 그래서 군생활동안 월급을 차고차곡 모아서 전역후에 학비로 사용한다거나 취업 준비하는동안 용돈으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gentlethink.tistory.com
소주한잔 용량 ml단위 및 술에 대한 관련 정보 총정리
소주한잔 용량 ml단위 및 술에 대한 관련 정보 총정리 소주는 술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대다수가 마시는 술입니다. 일반적으로 주량에 대해서 말하는 때에도 소주 마시는 양을 기준삼아 이야기
gentlethink.tistory.com